
1. 파리대왕 - 줄거리
윌리엄 골딩의 소설 『파리대왕』은 전쟁 중 비행기 사고로 인해 한 무리의 영국 소년들이 무인도에 불시착하면서 시작된다. 이들은 성인의 보호 없이 살아가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합리적이고 지도력이 있는 랄프는 소년들의 리더가 되고, 그의 조력자인 피기는 지적인 사고로 그를 돕는다. 그러나 힘과 본능적인 욕망을 중시하는 잭은 점차 자신만의 무리를 형성하며 대립하기 시작한다.
랄프는 구조를 위해 불을 피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잭과 그의 무리는 사냥을 하며 점점 야만적인 모습으로 변해간다. 그 과정에서 ‘짐승’에 대한 두려움이 소년들 사이에서 퍼지며 점차 광기 어린 분위기가 조성된다. 잭의 무리는 사냥을 통해 피를 보는 행위를 즐기며 폭력적으로 변해가고, 결국 랄프를 따르는 무리와 극단적인 대립을 이루게 된다.
한편, 내성적이지만 직관력이 뛰어난 소년 사이먼은 ‘짐승’의 실체가 외부의 존재가 아닌 인간 내면의 공포와 악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는다. 그는 진실을 전하려 하지만, 광기에 휩싸인 아이들은 그를 ‘짐승’으로 오해하여 잔인하게 살해한다. 이후 잭의 무리는 피기의 안경을 빼앗아 불을 피우는 도구로 삼고, 이에 맞서 싸우던 피기는 잭의 부하들에 의해 목숨을 잃는다.
이제 랄프는 무인도에서 홀로 도망치는 신세가 된다. 잭의 무리는 그를 끝까지 쫓아가 죽이려 하고, 결국 섬 전체에 불을 질러 랄프를 몰아세운다. 그러나 아이들이 서로를 죽이려 하는 순간, 우연히 섬에 도착한 영국 해군 장교가 등장하면서 모든 것이 중단된다. 문명의 세계에서 온 장교는 소년들의 모습에 경악하며 이들을 구출한다. 이렇게 소년들은 구조되지만, 자신들이 행한 폭력과 야만성의 결과를 직면하며 침묵 속에서 눈물을 흘린다.
2. 등장인물 분석
랄프: 이성적이고 지도력이 있는 소년으로, 공동체를 유지하려고 하지만 점점 야만적인 분위기에 밀려난다. 마지막까지 생존하려 애쓰지만 결국 문명의 개입으로 구원받는다.
잭: 권력과 사냥에 집착하며 점점 야만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다. 결국 독재적인 지도자가 되어 섬을 지배하려 한다.
피기: 유약한 체격과 두꺼운 안경을 가진 소년으로, 이성과 문명의 상징이다. 그러나 결국 야만적인 폭력에 희생된다.
사이먼: 내성적이지만 통찰력이 있는 소년으로, ‘짐승’이 실재하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 내면의 두려움과 악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는다. 그러나 무리의 광기 속에서 비극적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3. 시대적 배경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쓰인 소설로, 전쟁으로 인해 문명이 파괴되는 모습을 배경으로 한다. 또한 당시 냉전 시대의 긴장감 속에서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회의를 담고 있다. 전쟁으로 인해 소년들이 무인도에 고립되었다는 설정 자체가 문명의 붕괴와 인간의 본능적 폭력을 상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4. 이 소설의 메시지
이 작품은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골딩은 인간이 본래 선한 존재인지, 아니면 문명이 사라질 때 본능적 악이 드러나는 존재인지 탐구한다. 소년들은 처음에는 문명적 규칙을 따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야만적인 본성을 드러낸다. 이는 문명이 얼마나 인간의 본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메시지다.
5. 감상
단순한 생존 소설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 사회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특히 소년들이 점점 야만적으로 변해가는 과정은 문명의 가면 아래 감춰진 인간의 원초적 폭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등장인물들이 각각 문명, 이성, 본능, 야만성 등의 상징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작품은 철학적으로도 깊은 의미를 지닌다. 랄프와 피기가 문명을 대표하는 반면, 잭과 그의 무리는 야만성을 상징한다. 그리고 사이먼의 존재는 인간이 본능적인 폭력과 두려움을 극복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결국 야만성에 의해 짓밟힌다.
이 소설은 단순한 이야기 그 이상으로,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촉진하는 강렬한 작품이다. 골딩이 제시하는 인간의 야만성은 단지 소설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도 충분히 찾아볼 수 있다. 문명이 붕괴할 때 인간은 어디까지 잔인해질 수 있는가? 이 질문을 끝까지 따라가다 보면 『파리대왕』이 왜 고전으로 남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